알브레히트 1세 (독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브레히트 1세는 1255년경 루돌프 1세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282년 오스트리아 대공과 슈타이어마르크 대공으로 즉위했다. 그는 오스트리아를 강압적으로 통치하며 빈 시민과 귀족의 반발을 샀으나, 1298년 아돌프 폰 나사우를 꺾고 독일 왕으로 선출되어 아헨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 알브레히트는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조약을 맺고 교황의 승인을 얻어 왕위를 확립하려 했다. 그는 엄격한 통치자였지만, 유대인을 보호하고 도시를 장려하는 등 실용적인 면모도 보였다. 1308년 조카 요한 파리키다에게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오스트리아 공작 - 루돌프 1세 (독일)
루돌프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백작으로, 독일 왕으로 재임하며 가문의 영지를 확장하고 오타카르 2세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 가문의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교황과의 관계 개선과 제국 내 평화 유지에 힘썼다. - 1255년 출생 - 장순룡
장순룡은 드라마 《기황후》 등장인물로, 배우 김명국이 연기했으며, 《무신》, 《정도전》, 《징비록》, 《옥중화》, 《미스터 션샤인》 등 다수 드라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한다. - 13세기 합스부르크가 - 루돌프 1세 (독일)
루돌프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백작으로, 독일 왕으로 재임하며 가문의 영지를 확장하고 오타카르 2세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 가문의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교황과의 관계 개선과 제국 내 평화 유지에 힘썼다. - 13세기 합스부르크가 - 루돌프 1세 (보헤미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 루돌프 1세는 독일 왕 알브레히트 1세의 아들로, 1306년부터 1307년까지 보헤미아 왕으로 재위했으나 귀족들의 반발과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짧고 혼란스러운 통치를 마쳤으며, 그의 죽음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보헤미아 왕위 획득 시도를 좌절시키고 왕국 내 혼란을 야기했다.
알브레히트 1세 (독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알브레히트 1세 |
독일어 이름 | Albrecht I. |
칭호 | 로마인의 왕 |
재위 기간 | 1298년 7월 27일 - 1308년 5월 1일 |
대관식 | 1298년 8월 24일, 아헨 대성당 |
이전 통치자 | 아돌프 |
다음 통치자 | 하인리히 7세 |
출생일 | 1255년 7월 |
출생지 | 라인펠덴 자유 제국 도시 |
사망일 | 1308년 5월 1일 |
사망 장소 | 빈디슈, 전 오스트리아 |
매장지 | 슈파이어 대성당 |
왕가 | 합스부르크 가문 |
아버지 | 루돌프 1세 |
어머니 | 게르트루트 폰 호엔베르크 |
배우자 | 엘리자베트 폰 케른텐 |
자녀 | 루돌프 1세 프리드리히 공정왕 레오폴트 1세 알브레히트 2세 하인리히 폰 외스터라이히 오토 안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부인 겸 브로츠와프 공작부인 아그네스, 헝가리 왕비 엘리자베트, 로렌 공작부인 카타리나, 칼라브리아 공작부인 유디트 폰 외스터라이히 |
통치 정보 | |
독일 왕 즉위 | 1298년 7월 27일 |
오스트리아 공작 및 슈타이어마르크 공작 | 1282년 12월 27일 - 1308년 5월 1일 (1283년까지 루돌프 2세와 공동 통치, 1298년-1307년 루돌프 3세와 공동 통치) |
기타 정보 | |
출생지 (원어) | 라인펠덴 제국 자유 도시 |
사망 장소 (원어) | 아르가우 지방, 로이스 강변 |
2. 생애
알브레히트 1세는 루돌프 1세 사후 아돌프 폰 나사우와의 왕위 경쟁에서 패배했으나, 1298년 괼하임 전투에서 승리하며 독일 왕위에 올랐다.
1299년 프랑스 필리프 4세와 조약을 맺어 아들 루돌프 1세와 필리프 4세의 딸 블랑슈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1303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복종을 서약하며 왕위를 인정받았다.
보헤미아, 튀링겐 등 동유럽으로 세력 확장을 시도했으나 루카 전투 패배와 아들 루돌프의 사망으로 좌절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 지배에 대한 불안감 속에 스위스에서는 빌헬름 텔 전설이 등장했다.[28]
1308년 5월 1일, 슈바벤 반란 진압 중 빈디쉬에서 조카 요한 파리키다에게 암살당했다.
2. 1. 초기 생애와 오스트리아 공작 즉위
라인펠덴에서 루돌프 1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273년부터 아버지의 슈바벤(포어알베르크) 영토인 알자스의 란트그라프로 통치했다. 1282년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 최초의 독일 군주인 아버지는 알브레히트와 그의 동생 루돌프 2세에게 오스트리아와 슈티리아를 수여했다.[7] 1282년 12월 오스트리아 대공, 슈타이어마르크 대공으로 즉위했으며 1283년 라인펠덴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의 단일 통치자가 되었다.
루돌프 1세는 1278년에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2세를 물리친 후, 오타카르가 지배하던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두려고 시도하여 1281년에 알브레히트를 오스트리아의 섭정으로 임명했다. 오스트리아 귀족들은 알브레히트의 강압적인 정책에 공포를 느꼈고, 루돌프는 현지의 상급 영방 귀족(란트헤르)에게 알브레히트의 보좌를 맡겼다.[7] 1282년 12월 25일에 알브레히트와 동생 루돌프는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크라인의 공동 통치자로 정해졌다. 다음 해인 1283년에 맺어진 라인펠덴 조약에서 알브레히트가 단독으로 오스트리아를 통치하게 되었으며, 오스트리아 공작위를 물러난 루돌프와 그의 후계자에게는 대가로 금전 또는 토지가 지불되도록 결정되었다.[7]
알브레히트와 가신단은 오스트리아에 강압적인 통치를 펼쳐 현지 사람들의 원성을 샀다.[8][9] 빈 시민과 귀족의 단결을 막기 위해 시민과 빈곤층의 대립을 이용했다.[10] 빈의 저항을 억누른 알브레히트는 시에서 제국 직속 자격을 박탈했다. 엔스 계곡의 소유권과 여러 권리를 놓고 잘츠부르크 대주교와 다투었으며, 1290년에 루돌프 1세의 중재로 자신에게 유리한 조약이 체결되었다.[10] 같은 해에 헝가리 왕 러슬로 4세가 암살되어 헝가리 왕위가 공석이 되자, 루돌프는 헝가리 왕위를 알브레히트에게 주겠다고 선언했다.[10]

2. 2. 독일 왕위 경쟁과 즉위
1291년 루돌프 1세가 사망하자, 알브레히트 1세는 아돌프 폰 나사우와 왕위를 놓고 경쟁했지만 패배했다.[13] 알브레히트는 아돌프의 로마 왕 선출을 인정하면서도 왕위에 대한 야망을 버리지 않았다.[14]선제후들은 알브레히트의 권력과 세습 군주제 시행을 우려하여 나사우가의 아돌프를 새로운 로마 왕으로 선출했고, 알브레히트의 왕위 계승은 좌절되었다.[13]
튀링겐, 마이센 변경백에 간섭하는 아돌프에 대해 선제후들은 반발했다. 바츨라프 2세를 중심으로 하는 선제후들은 아돌프의 폐위를 결정했고, 1298년 5월 23일 마인츠에서 알브레히트를 새로운 로마 왕으로 옹립했다.[17]
1298년 7월 2일, 보름스 근교 괼하임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알브레히트는 아돌프를 물리치고 살해했다.[2]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알브레히트는 아돌프와의 일대일 대결에서 승리했다고 한다.[14]
전투 후, 알브레히트는 제후들에게 많은 양보를 했고, 같은 해 7월 27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국왕 선거에서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으며, 8월 24일 아헨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3]
2. 3. 대외 정책과 갈등
1299년 프랑스의 필리프 4세 국왕과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알브레히트 1세의 아들인 루돌프 1세는 필리프 4세의 딸인 블랑슈와 결혼하게 된다. 라인 선제후와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한동안 그의 아들에 대한 독일의 왕위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1303년 알브레히트가 교황의 명령에 복종하고 교황의 동의 없이 독일의 왕위 계승을 하지 않겠다고 서약하면서 그의 왕위를 인정했다.[3] 한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에 대한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던 스위스에서는 빌헬름 텔 전설이 등장하게 된다.[28][23]알브레히트는 유럽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려고 했다. 그는 처음에는 부르고뉴 국경 문제로 프랑스 왕국과 싸우려는 경향을 보였지만,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그의 선출을 인정하지 않자 그의 정책을 바꾸어 1299년, 그의 아들 루돌프가 국왕의 이복 누이인 블랑슈와 결혼하기로 하는 조약을 필리프 4세와 맺었다.[18] 그는 그 후 필리프와 소원해졌지만, 1303년 보니파시오는 그를 독일 왕이자 미래의 황제로 인정했다. 그 대가로 알브레히트는 교황만이 제국 왕관을 수여할 권한을 인정했고, 그의 아들 중 누구도 교황의 동의 없이 독일 왕으로 선출되지 않도록 약속했다.[3]
알브레히트는 1299년 홀란트와 절란트를 신성 로마 제국의 공백지로서 차지하려는 시도에서 실패했지만, 1306년 루돌프 3세를 보헤미아의 왕으로 확보했다. 그는 또한 그의 전임자 아돌프가 튀링겐에 대해 제기한 주장을 갱신했고, 헝가리 왕위 계승 분쟁에 간섭했다. 튀링겐 공격은 1307년 루카 전투에서 알브레히트의 패배로 끝났고, 같은 해 그의 아들 루돌프의 죽음은 동유럽에서 그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1250년 이후 라인강에 부과된 모든 통행료를 폐지한 그의 행동은 라인란트 대주교와 팔츠 선제후가 그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하도록 했다. 그러나 자유 제국 도시의 도움을 받아 그는 곧 봉기를 진압했다.[3]
1291년 루돌프 1세가 사망하자 알브레히트를 둘러싼 정세는 급변했다. 스위스의 도시들은 알브레히트를 위협으로 느껴, 1291년 8월 1일에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니트발덴)의 대표자들이 뤼트리에서 회합하여 동맹을 맺었다.[11]。
스위스 동부에서는 베른, 무르텐, 파예른이 연합했고, 서부에서는 라우펜부르크-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인 콘스탄츠 주교 콘라트를 중심으로 취리히, 루체른이 동맹을 맺었다. 동서 연합은 서로 협력하여 알브레히트에 저항했고, 1291년 12월 25일에 합스부르크 본가의 거점인 자르넨 성을 파괴했다.[12]。
교황니콜라우스 4세의 승인을 얻은 주변 세력은 반 합스부르크 동맹을 결성했고, 헝가리 왕국, 보헤미아, 니더바이에른, 사보이아 백국, 성계 제후, 동맹자 동맹이 참여했다.[10]。 헝가리에서는 라슬로 4세의 사촌인 언드래시 3세가 국왕으로 옹립되었고, 언드래시 3세는 잘츠부르크 대주교 콘라트와 동맹하여 오스트리아로 진군하여 합스부르크 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알브레히트를 두려워한 선제후들은 약소한 나사우가의 아돌프를 새로운 로마 왕으로 선출했고, 알브레히트의 로마 왕위 계승은 이루어지지 못했다.[13]。 알브레히트는 아돌프의 로마 왕 선출을 인정했지만, 로마 왕위에 대한 야망을 버리지는 않았다.[13][14]。
아돌프가 선출된 후, 알브레히트는 스위스와 주변 가문의 영지 경영에 힘썼다.[11]。 1292년 4월 13일, 빈터투어 전선에서 합스부르크 군은 취리히 시민군을 격파했고, 동서 스위스의 동맹은 붕괴되었다.[15]。 알브레히트는 동맹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오스트리아의 안정을 우선시했고,[11]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했다.[16]。 헝가리 왕위는 단념하고, 잘츠부르크 대주교에게 대폭적인 양보를 보여 강화했다.[16]。 알브레히트의 매제인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2세는 아내인 구타 (유타)의 영향으로 동맹을 이탈했고, 알브레히트는 위기를 벗어났다.[16]。
한편, 튀링겐, 마이센 변경백에 간섭하는 아돌프에 대해, 선제후들은 반발을 보였다. 바츨라프 2세를 중심으로 하는 선제후들은 아돌프의 폐위를 결정했고, 1298년 5월 23일에 마인츠에서 알브레히트를 새로운 로마 왕으로 옹립했다.[17]。 1298년 7월 2일,[15] 보름스 근교의 겔하임에서 알브레히트는 아돌프와 교전했다(겔하임 전투). 겔하임 전투에서 알브레히트는 아돌프의 일대일 대결 도전에 응하여, 그를 살해했다고 전해진다.[14]。
전투 후, 알브레히트는 제후들에게 대폭적인 양보를 보였고, 같은 해 7월 27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개최된 국왕 선거에서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으며, 8월 24일에 아헨에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13]。
1298년에 알브레히트 1세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이듬해 1299년에 프랑스 왕필리프 4세와 콰트르보 조약을 체결했다.[18]。조약에 따라 알브레히트 1세의 장남 루돌프와 필리프 4세의 여동생 블랑슈의 결혼이 결정되었고, 뫼즈강이 두 나라의 경계로 정해졌다.[18]。
제후들에 대해서는 특권 승인, 란트 평화령 발포, 영토 반환 요구에 응했다.[18]。한편, 제후들이 양국을 형성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국 내 도시에 보호를 제공하고 자치를 촉진했다.[13][18]。라인의 선제후들은 동맹하여 알브레히트 1세에 대항했지만, 알브레히트 1세는 도시의 도움을 받아 그들을 격파했다.[13]。
아돌프와 마찬가지로 알브레히트 1세도 튀링겐과 마이센의 획득을 시도했고, 제후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19]。세력을 확대하는 알브레히트 1세에 대항하여, 선제후들은 그의 아들에 의한 로마 왕위의 세습에 반대했다.[20]。1303년, 알브레히트 1세는 교황권에의 복종과, 로마 교황의 동의 없이 아들들에게 로마 왕위를 계승하지 않을 것을 서약했고, 교황 보니파시오 8세로부터 로마 왕위를 인정받았다.[13]。
알브레히트 1세는 보헤미아에도 세력 확장을 시도하여, 바츨라프 2세에게 쿠트나 호라의 은광에서 나오는 수익 등을 요구했다.[21]。1304년에 제국과 보헤미아 사이에서 군사 충돌이 일어나, 보헤미아에 패배한 알브레히트 1세는 요구를 철회했다. 1306년에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3세가 사망하여 보헤미아의 왕통이 단절되자, 알브레히트 1세는 보헤미아를 침공했다.[22]。보헤미아 왕으로 옹립된 바츨라프 2세의 사위인 케른텐 공작 하인리히를 추방하고, 장남 루돌프를 새로운 보헤미아 왕으로 앉혔다.[21]。하지만, 이듬해 1307년에 루돌프가 급사하고, 체코 내 반합스부르크 파는 다시 하인리히를 옹립했다.[22]。같은 해에 루카에서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튀링겐에 대한 개입은 실패로 끝났다.[13]。
맹약자 동맹을 구성하는 스위스 삼림 주는 특허장을 발부하지 않았지만, 자치를 묵인했다.[15]。
2. 4. 암살
1308년 5월 1일 알브레히트 1세는 슈바벤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던 도중에 빈디쉬에서 자신의 조카였던 요한 파리키다에게 암살당했다. 요한은 로이스 강의 빈디슈에서 알브레히트 1세를 살해했다.[1] 요한은 이후 "존 파리사이다" 또는 "존 파리시다"라고 불렸다.[1]3. 가족 관계
알브레히트 1세는 1274년 엘리자베트 폰 카린티아와 결혼했다.[1] 엘리자베트는 티롤 백작 메인하르트 2세의 딸로, 합스부르크 가문 이전에 오스트리아를 다스렸던 바벤베르크 변경백의 후손이었다. 또한 엘리자베트는 하인리히 4세를 포함한 이전 독일 왕들의 후손이자, 오스트리아의 중요한 이웃인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의 바이에른 공작의 조카로서 남편보다 더 강력한 독일 통치자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알브레히트 1세 부부는 슬하에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아들 루돌프 3세에게는 오스트리아의 수호성인 변경백의 이름을 따서 레오폴트라는 세례명을 지어주었다.
3. 1. 자녀
Elisabeth von Kärntende와 1276년에 결혼하여 12명의 자녀를 두었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안나 | 1275년/1280년 | 1327년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헤르만, 브로츠와프 공작 헨리크 6세와 결혼 |
아그네스 | 1281년 | 1364년 | 헝가리 왕 언드라시 3세와 결혼 |
루돌프 3세 | 1281년 | 1307년 | 보헤미아 왕 루돌프 1세, 외삼촌인 케른텐 공작 하인리히 6세와 왕위를 다퉜다. |
엘리자베트 | 1285년경 | 1352년 | 1304년에 로렌 공작 페리 4세와 결혼 |
프리드리히 1세 | 1289년 | 1330년 | 로마 왕(대립왕) 프리드리히 3세, "미남왕" |
레오폴트 1세 | 1290년/1293년 | 1326년 | 오스트리아 공작 |
카타리나 | 1295년 | 1323년 | 칼라브리아 공작 카를로와 결혼 |
알브레히트 2세 | 1298년 | 1358년 | 오스트리아 공작, 케른텐 공작 |
1299년 | 1327년 | ||
마인하르트 | 1300년 | 1301년 | |
오토 | 1301년 | 1339년 | 오스트리아 공작, 케른텐 공작 |
유타 | 1302년 | 1329년 | 외팅겐 백작 루트비히 6세와 결혼 |
4. 평가 및 유산
알브레히트 1세는 강하고 엄격한 통치자였지만, 자신의 이익과 관련되지 않을 때는 정의감이 투철했고, 실용적인 지성을 가진 드문 독일 왕이었다. 그는 도시를 장려했으며, 사적인 전쟁에 반대하는 포고령을 내리고 이를 시행하기 위해 제후들과 동맹을 맺었다.[3] 백성들에게 무관심한 시대였지만, 농노들은 이 엄격한 군주에게서 친구를 찾았고, 그는 멸시받고 박해받는 유대인들조차 보호했다.[13] 스위스 칸톤에서 그가 자행한 잔혹 행위와 압제에 대한 이야기(cf. 빌헬름 텔)는 16세기에 나타났으며, 현재는 전설로 여겨진다.[13]
아버지 루돌프 1세로부터 정치 수완을 물려받아 무력과 책략을 적절히 사용하여 자신의 세력을 확대했다.[29] 온화한 성격으로 알려진 아버지와는 반대로, 냉철한 성격의 소유자였다고 전해진다.[30] 그러나 아내 엘리자베트에게는 성실하고 헌신적인 남편이었다.[28] 알브레히트의 냉철한 성격은 선제후들에게 두려움을 샀고,[14] 스위스 전승에서는 압정을 펼치는 냉혹한 군주로 묘사된다.[13]
알브레히트는 검은 피부에 땅딸막한 체격이었으며, 전투에서 한쪽 눈을 잃어 "외눈 공"이라고도 불렸다.[28]
5. 합스부르크 가계도
합스부르크 가계도 | ||
---|---|---|
알베르트 4세 | ||
루돌프 1세 | ||
알브레히트 1세 | ||
루돌프 1세 | ||
프리드리히 미남 | ||
레오폴트 1세 | ||
알베르트 2세 | ||
하인리히 친절공 | ||
오토 | ||
존 파리치다 | ||
루돌프 4세 | ||
프리드리히 3세 | ||
알베르트 3세 | ||
레오폴트 3세 | ||
레오폴트 2세 | ||
프리드리히 2세 | ||
알베르트 4세 | ||
빌헬름 | ||
레오폴트 4세 | ||
어네스트 | ||
프리드리히 4세 | ||
알베르트 2세 | ||
프리드리히 3세 | ||
알베르트 6세 | ||
지그문트 | ||
포스투무스 라슬로 | ||
막시밀리안 1세 | ||
펠리페 1세 | ||
카를 5세 | ||
페르디난트 1세 | ||
펠리페 2세 | ||
막시밀리안 2세 | ||
페르디난트 2세 | ||
카를 2세 | ||
카를로스 | ||
펠리페 3세 | ||
루돌프 2세 | ||
에른스트 | ||
마티아스 | ||
막시밀리안 3세 | ||
알베르트 7세 | ||
벤체슬라오스 | ||
안드레아스 | ||
카를 | ||
페르디난트 2세 | ||
막시밀리안 에른스트 | ||
레오폴트 5세 | ||
카를 | ||
펠리페 4세 | ||
카를로스 | ||
페르디난트 | ||
존-카를 | ||
페르디난트 3세 | ||
레오폴트 빌헬름 | ||
페르디난트 카를 | ||
지기스문트 프란츠 | ||
발타자르 카를로스 | ||
카를로스 2세 | ||
페르디난트 4세 | ||
레오폴트 1세 | ||
카를 요제프 | ||
요제프 1세 | ||
카를 6세 |
참조
[1]
서적
The Habsburgs Embodying Empire
Penguin
[2]
서적
Die Schlacht am Hasenbühl und das Königskreuz zu Göllheim: eine historische Monographie
https://archive.org/[...]
Kranzbühler
[3]
논문
Rituale der Herrschererhebung im spätmittelalterlichen Reich (Mittelalter-Forschung 35,1)
https://digi.ub.uni-[...]
Ostfildern
[4]
논문
Die Tode der römisch-deutschen Könige und Kaiser (1150–1349)
https://digi.ub.uni-[...]
Ostfildern
[5]
문서
로마왕은 제위의 전제가 된 왕호로 현대에서 보면 실질 독일 왕이지만, 당시 국가・지역・민족으로서의 독일은 성립 도상이다. 또한[[이탈리아 왕국 (중세)|이탈리아]]와[[아를 왕국|부르고뉴]]에 대한 종주권을 갖춘다.
[6]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2
[7]
서적
오스트리아사
[8]
서적
오스트리아사
[9]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10]
서적
오스트리아사
[11]
서적
スイス・ベネルクス史
[12]
서적
スイス独立史研究
[13]
웹사이트
Albert I. (German king)
https://en.wikisourc[...]
[14]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15]
서적
スイス独立史研究
[16]
서적
오스트리아사
[17]
웹사이트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Adolph of Nassau
https://en.wikisourc[...]
[18]
서적
ドイツ史 1 先史〜1648年
[19]
서적
오스트리아사
[20]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21]
서적
ドナウ・ヨーロッパ史
[22]
서적
오스트리아사
[23]
서적
ハプスブルク家史話
[24]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25]
서적
ハプスブルク家史話
[26]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27]
서적
ハプスブルク家史話
[28]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29]
서적
ハプスブルク家史話
[30]
서적
ハプスブルク家の皇帝たち
[31]
서적
오스트리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